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[북드라마 S5#3] 왜 나는 공부를 하는 것일까?
    1F 책책책 2020. 4. 16. 06:34
    반응형

     

    왜 나는 공부를 하는 것일까?’ 라는 질문은 당연한 대답이 있기에 새삼스러웠다. 질문을 듣는 순간 그건, 자기 계발에 대한 욕구가 있으니까지 하고 생각했다. 무릎 반사만큼 혹은 지금 마시는 공기 같은 질문이었다.

     

    그런데 왜 자기 계발에 늘 집착해 왔는 가는 설명이 어려웠다. 어느 순간부터 계속 그랬으니까. 특별히 영재였던 것도 아니고, 언제나 사교육이 넘치는 서울 중산층 가정에서 환경에 있었던 것에 비해 학원은 늦게 다녔다. 부모님이 맞벌이를 하시고 두 살 터울 동생이 7살 인생까지 거의 유일한 친구였다. -유치원을 오가고, 학교에 입학해서도 집-학교가 전부였다. 겨우 늘어난 것이 집-통학용 버스-학원-학교였다. 누가 가둔 적도 없는데 답답했다. 학교에 다니면서 또래 친구들을 보면서 학교에 다니기 시작하면서 느린 관찰이 시작됐다. 친구들을 따라다녀 보기도 하고 이야기도 들어봤지만 내가 모르는 것이 끊임없이 나올 뿐이었다. 우리 말에는 정확한 단어가 없는데 이 시기에 내가 가지게 된 결핍감은 street-smart에 대한 갈망이었던 것 같다. 혼자 타임-슬립한 사람처럼 관찰이 계속되었다. 우선은 가지고 있지 않은 것이 무엇인지 알고, 무얼 해야 할지 알아내야 했으니까.

     

    엄마는 중학교 교사이셨다. 정말 우리를 돌보려고 바쁜 출퇴근 속에 사셨다. 그런데도 기억 어디엔 가 엄마가 책을 읽으시던 모습이 있었다. 아이를 낳고 현타오는 순간에도 책이 생각났던 걸 보면, ‘책 읽는 엄마’, 그건 꽤나 멋진 모습이었던 것 같다. 그리고 매일 잘 때 동화 테이프를 들으면서 잠들었다. 책을 읽고 칭찬을 듣는 것도 좋아했다. 이런 요소들이 모여서 책에서 더 나아가 배운다라는 모든 것에 관심이 생겼다. 모순적이게 보일 지도 모르지만, 모름에 대해 인식할 때마다 Street-smart에 대비되는 Book-smart로 간극을 줄여보려고 한다. 분명 Book-smart에 잘못 갇히면 위험하지만, 알고자 하는 의지가 있으면 독서와 배움이 결국에는 Street-smart에 닿을 거라고 생각했다. 울타리를 넘은 호기심을 충족할 방안으로 공부가 가장 적절하다는 생각이 들었고, 결국 책이 나를 구원할 거라는 맹목적인 믿음이 내 안에 자리 잡았다.

     

    가장 먼저 실천한 것은 돈 공부였다. 벌이에 급급하면 공부도 자기 계발도 할 수 없다는 생각 때문이었다. ‘파이프 라인 우화는 나중에 알았지만, 다른 사람보다 특출 나지 않은 내가 자기계발에 집중할 수 있는 것은 조금인 내 종자돈도 24시간 같이 일하기 때문이다. 물론 재테크 공부도 시간이 들고, 그 시간에 (일에서의) 능력을 키우는 게 소득 증대에 더 보탬이 된다 할지도 모른다. 맞다, 하지만 나에게 최적화된 방식은 금융도 공부해서 돈도 굴리고 세상도 함께 배우는 것이었다. 또한, 재테크에 관심을 가지면 최신 기술 (, 보안 카드->OTP, 폰 뱅킹 ->인터넷, 모바일 뱅킹, 비대면 계좌 개설, 오픈 뱅킹 등등)도 저절로 배우게 되고, 내 돈을 사장님 마인드로 투자 결정도 해보게 되며 실행력도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. 돈 공부는 왠만한 게임, 드라마보다 흥미진진하다. 그래서 시시껄렁한데 시간을 보내고 싶은 유혹이 들면 내 계좌 한 번, 경제 뉴스 한 번 보면 딴 짓 하는 시간도 줄고, 쇼핑할 돈도 주식 예수금이 되었다.

     

    의미 없는 놀이보다 재테크가 재미있고 돈보다 제대로 하는 공부와 일이 더 재미있다는 것을 이제는 안다. 지금은 미생일 뿐 이어도 차근차근 쌓아서 1인 기업으로 셀프 브랜딩 해 나갈 것이다. 매일이 힘들지만 끙끙 관찰과 고민만 하던 것 보다 읽고 천천히 쓰고있다. 올해는 몇 년 째 고배를 마신 잘 쓰기에 집중해 볼 것이다.

    난 좋게 말해 대기만성형이고, 업그레이드 중이고 현재도 공사 중이다. 공부하고 행동하면 변할 수 있다는 믿음 하에.

    댓글

Designed by Tistory.